📖 지정학

Mar 05, 2024

클라우스 도즈Klaus Dodds, ⟪지정학⟫(Geopolitics: A Very Short Introduction, 2019)

❧ 사물들

  • stuff: matter, material, articles or activities of a specified or indeterminate kink that are being referred to, indicated, or implied; the basic constituents or characteristics of something or someone

  • Stoff: das Material, die Materie; das, was zu erlernen, zu erarbeiten ist

  • 해퍼드 매킨더Halford Mackinder(1861-1947)


❧ 지정학이란?

  • 지정학의 특징

    • 공간과 영토에 대한 영향력과 권력의 문제를 다룬다.

    • 세계 정세를 이해하는 데 지리적 틀을 이용. ‘세력권’(sphere of influence), ‘블록’(bloc), ‘뒷마당’(backyard), ‘인접국’(neighbourhood), ‘주변국’(near abroad) 등

    • 미래지향적. 일어날 법한 국가 행위에 대한 통찰을 제공

  • 고전적 지정학(classical geopolitics). 국력과 영토적 이해관계, 지리적 환경의 상호관계. 영토, 자원, 입지

  • 비판적 지정학(critical geopolitics): 담론과 이데올로기의 역할에 중점, 유동적·해석의존적 지리에 초점. 인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의 상호작용이 지정학을 생산하는 방식

🎧 https://www.podbean.com/ew/pb-7rdk8-154be81

❧ 지정학 전사前史

  • 스웨덴의 정치학 교수 요한 루돌프 셸렌Johan Rudolf Kjellén(1864-1922)

    • 국가의 조건 형성에서 영토와 자원의 역할을 강조하는 국제 정치에 대한 냉혹하고 현실주의적인 접근법

    • 지구의 자연지리라는 ‘사실’(대륙과 대양의 배치, 대륙 세력과 해양 세력의 구분)에 입각하여 국제정치에 관한 ‘법칙’을 상정

    • ‘생명정치’(biopolitics) 개념. 민족국가에 생물학적 특성 부여, 생활공간 강조, ‘국민의 집’(folkhemmet)으로서의 국가

  • 프리드리히 리스트Friedrich List(1789-1846)

    • 정치경제학의 민족적 체계⟫(Das Nationale System der Politischen Ökonomie, 1841)

    • 지리적 요인의 중요성, 해도와 육로 접근성, 영토팽창 잠재성, 자원의 풍부함 강조


❧ 지정학 정초기

  • 학문 분야로 성립하게 된 요인들

    • 제국주의 유럽 국가들이 지구적 경제의 본질에 적응하는 과정, 경제민족주의와 보호무역주의

    • 식민지 소유권과 접근권을 둘러 싼 제국 열강들의 대립 상황

    • 학문 분과로서의 지리학의 성립

  • 알프레드 세이어 마한Afled Thayer Mahan(1840-1914)


❧ 전간기, 지정학과 나치즘

  • 프리드리히 라첼Friedrich Ratzel(1844-1904)

    • ⟪민족적 위대함의 원천으로서의 바다. 정치지리학적 연구⟫(Das Meer als Quelle der Völkergrösse. Eine politisch-geographische Studie, 1900)

    • 국가는 투쟁과 불확실성이 특징인 세계에서 초유기체로 개념화되어야 한다. 국가는 자연환경에 뿌리를 두고 형성된 지정학적 세력

    • 생존공간 모색(Raummotiv)이 역사의 원동력, 독일제국의 열광적 지지자

  • 카를 하우스호퍼Karl Haushoffer(1869-1946)

    • 1920년대 중반 ‘지정학보’(Zeitschrift für Geopolitik) 창간

    • 국가가 초유기체로 간주되고 국가라는 유기체의 건강은 영토와 자원의 끊임없는 획득에 달려있다. 

    • 군사력을 중시하는 세계관. 국가의 핵심인 다섯 가지 근본요소(물리적 위치, 자원, 영토, 형태론적 특징, 인구)

    • 범지역론. 타국의 간섭에서 자유로운 자국만의 경제적 지리적 배후지

  • 해퍼드 매킨더Halford Mackinder

    • 독일과 소련의 동맹가능성에 대항하는 미국과의 동맹구상. 미들랜드오션동맹(Midland Ocean Alliance) 제안(1924)

    • 북대서양과 그 부속 바다 및 유역, 교두보는 서유럽, 영국, 미국, 캐나다 


❧ 냉전 시기 지정학 

  • 영토, 자원, 접근성을 놓고 강대국들이 어디에서 충돌할 것인가

  • 냉전의 주요 전장들: 베를린, 남동유럽, 서아시아, 한반도, 베트남

  • 니컬러스 스파이크먼Nicholas Spykman(1893-1943)

    • 냉전의 시작으로 미국과 소련 사이의 영토적·이데올로기적 투쟁의 중요성 부각

    • ⟪세계 정치에서 미국의 전략 - 미합중국과 권력 균형⟫(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 The United States and the Balance of Power, 1942)

    • 동유럽과 서아시아, 남유럽과 남동 유럽에서 ‘테두리땅’(rimland, 지전략적地戰略的(geostrategically)으로 중요한 공간에서 바다를 접한 가장자리)에 집중

  • 솔 코언Saul Cohen(1925- )

    • ⟪분열된 세계의 지리와 정치⟫(Geography and Politics in a World Divided, 1963)

    • ‘파쇄지대’(shatterbelt, 내부적으로 분열되어 열강의 경쟁을 불러 일으키는 지역)

🎧 https://www.podbean.com/ew/pb-7k9e7-154ec85 

❧ 비판적 지정학 

  • 성립의 맥락. 지구적 정치의 사회적·문화적 의미 주목, 지리가 결정적이지 않다는 통찰, 지정학과 정체성의 연계로써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통찰

  • 지정학의 새로운 분류들

    • 공식 지정학. 지정학과 관련된 지적 전통, 전략 연구소, 싱크탱크, 학계

    • 실용 지정학. 정책지향적 지리 모형, 외교정책, 관료제, 정치제도

    • 대중 지정학. 시민들이 이용하는 대중 매체, 영화, 소설, 만화

  • 비판적 지정학이 생산하는 것들. 경계와 위험의 공간화[비가시적인 것들인 경계와 위험을 공간에 투사하여 구체화] <—> 자아와 타자에 대한 지정학적 재현[지정학적 구성물]. 이는 지정학적 문화로 전개되는데, 이 문화는 지리적인 것을 주요 요소로 하면서도 자신들의 정체성, 지향성을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방식을 이룬다.


❧ 지정학과 정체성에서 제기되는 문제들

  • 국가정체성과 같은 ‘전통의 발명’이 인간-장소 관계에 근거하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것

  • ‘유럽 안의 튀르키예’, 즉 튀르키예는 유럽인가. 마찬가지로 보스니아, 헝가리, 폴란드는 유럽인가

  •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의 무슬림 공동체가 맞닥뜨리는 소외감 문제

  •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와 같은 발트 국가의 유럽 연합 가입 문제

🎧 https://www.podbean.com/ew/pb-h2a8i-15506ee

Ti piace questo post?

Offri un libro a Booklist, Talk & Seminar

More from Booklist, Talk & Semin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