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les
566 supporters
[미장] 어닝 서프라이즈 갭상승 종목 성공률 통계 및 EP-Setup 종 ...

[미장] 어닝 서프라이즈 갭상승 종목 성공률 통계 및 EP-Setup 종목 선정 요령(Tip)

Aug 12, 2025

위 그래프는 2024년 작성된 에피소딕 피봇(EP-Setup) 셋업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종목 관련 논문인데요.

2016년에서 2023년까지 5% 이상 갭상승 종목을 전수조사 한 다음 통계를 낸 것을 도식화 한 것입니다. 최근 시장 변동성이 무척 커서 Ep-Setup 매매에서 손절을 자주 당해서 의기소침해 진 댓글, 메일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주말에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한 포스팅 글을 작성하려다 밍그적 대다가 결국 작성하진 못 했는데요.

핵심만 간단히 요약하면 어닝 서프라이즈 및 각종 재료로 인한 오버나잇 갭상승 종목의 경우 평균적(Average) 결과 값은 양(Positive)이 아니라 음(Negative)의 결과값을 갖는 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Figure 3(그림 3)에서 평균적인 결과 값을 나타낸 라인 선은 바닥의 파란색 선라인을 나타냅니다. 그러니까 많은 경우 EP-Setup으로 상승하는 갭상승 종목을 매수할 경우 개별 종목을 잘 선별하고 고른 상태에서 투자하는 것이 투자 결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에피소딕 피봇으로 인한 갭상승 종목의 85~90%는 하락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연합니다. 이는 현재 주가가 위치한 상태를 따로 고려하지 않고 전체를 동일 가중치를 갖고 평균을 내는 식으로 통계를 냈기 때문에 더 낮게 나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닝 서프라이즈 또는 각종 긍정적 뉴스 기사를 재료 삼아서 주가가 오르는 오버나잇 갭(Overnight Gap) 상승 종목 공략의 핵심적인 장점은 상위 10%에서 1%에 해당하는 종목의 주가 상승 퍼포먼스는 압도적으로 높은 주가 상승률을 통계적으로 보여준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EP-Setup의 경우 개별 종목 선정이 정말 중요함을 알 수 있는데요. 주가가 200일 이평선 아래 머무는 경우 확률적으로 주가가 상승 보다는 하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하는 시점에서의 위치를 고려한 상태에서 실적 또는 뉴스 재료의 경중을 좀 따지는 작업을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하면, EP-Setup으로 인한 주가 상승 종목의 상위 실적 주식들은 결과적으로 아래와 같은 투자 결과, 주가 상승률을 나타낸다는 것을 위 그래프가 말하고 있습니다.

  • 파란색 점선은 상위 10%는 당일 갭 발생 후 평균 15% 수익을 낸 이후 몇일째 꾸준히 상승해 16일째 이르러서는 약 22% 수익 구간에 도달한 종목을 의미합니다.

  • 초록색 점선은 EP-Setup 으로 상승 종목의 상위 2.5% 결과 값을 나타내며, 주식 매두 당일 37% 수익을 냄과 동시에 16일째 이르러 60% 이상 수익을 내는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낸 종목을 의미합니다.

  • 마지막 노란색 점선은 EP-Setup으로 상승하는 종목의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의 경우 매수 당일 60% 수익을 내고 16일째 이르게 되면 약 85% 정도의 수익을 내는 것을 나타낸 것입니다.


논문에서도 언급하는 것 중 하나는 갭상승 종목의 경우 큰 성과를 내는 과정은 사전 식별의 중요성이 일정 수준의 누적된 투자 경험과 직관 같은 것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순히 수치화 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언급합니다.

위 데이터는 단순히 한계에서 논문을 작성한 것은 아니고 공동 저자로 숙련된 추세추종 투자자가 참여해 연구의 편향성 제거를 위해 노력한 것인지라 나름 의미가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결국 핵심은 어닝 시즌을 중심으로 한 EP-Setup 접근 전략의 핵심 투자 전략적으로는 투자 가능한 개별 종목을 프리마켓에서 가능한 잘 압축적으로 선별한 다음, 개별 주식의 과거 실적 발표 이후 성과 데이터를 잘 활용을 한 상태에서 기술적 매매기법을 통해 핸들링 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겠지요.

여러분들이나 필자나 여기서의 핵심은, 갭 이후에도 지속 상승 가능성이 높을 만한 종목을 잘 찾아내는 것에 있습니다.

이를테면 필자가 현재 홀딩중인 SOUN 종목의 경우 주가 상승 위치 및 실적 발표 내용 및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AI 섹터 관련 종목 중심으로 범위를 좁혀서 매매한 종목으로, 사실 이 종목은 공매도가 33% 수준으로 꽤 높아서, 실적과 향후 전망을 시장에서 좋게 보면 반드시 숏 스퀴즈 & 숏 커버링이 동반해 들어올 것으로 어느정도 예측 및 감안한 상태에서 홀딩 한 종목입니다.

당일은 워낙 주가 변동성이 심해서 약수익 상태로 마감한게 좀 불안하긴 했지만, 숏 커버링에 대한 나름의 확신(?) 같은게 좀 있어서 홀딩한 종목인데, 사실 손절가는 -4~5% 수준이라 원래 손절가에 도달시 매도로 잡아도 됩니다.

주린이 분들의 경우 EP-Setup 종목을 매매할때 가급적 시초가 1분봉이 주가가 5% 이상 넘는 종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1분봉이 막 10% 가까이 상승하는 경우 대체로 중소형주로 여러분들이 핸들링하기 무척 까다롭고 어려운 종목일 가능성이 큽니다.

위는 실제 SOUN 매매 당일 EP-SETUP으로 상승했던 종목 리스트를 나열한 모습인데요. 위는 1분봉 차트로, 시초가 1분봉의 크기를 영역으로 처리한 모습인데요. 잘 보시면 특성이 드러남을 알 수 있습니다. 대체로 10% 이상 그것도 시초가 1분만에 상승한 종목의 경우 그대로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무너짐을 경험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그렇게 하락하는 경우 시초가에 이미 VWAP 라인을 깨고 오늘은 줄 곧 내리 하락할 거란 다짐 혹은 의지 같은 걸 엿볼 수 있기도 합니다.

맨 우측 하단 LASR 같은 종목을 보면 1분봉 크기 하나가 당일 상승과 하락 전체를 커버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여기선 전 고점을 빠르게 넘어서는 시점이 아닌 경우 당일은 딱히 진입해도 먹을게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주린이 분들의 경우 EP-Setup 상승 종목 공략시 가장 무난한 것은 장 시작과 동시에 1분봉 ORB 상 주가 상승 정도가 3~5% 이내인 경우가 공략 대상으로 삼기 적절하다 보심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때도 무지성 홀딩이 아니라 분봉의 패턴 형성 및 주가가 VWAP Line을 잘 타며 상승 중인지도 잘 살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어닝 당일 매수할 필요는 없다.

위 종목도 최근 어닝 서프라이즈로 인해 주가가 상승한 COUR 종목 모습인데요. 홀딩을 했다면 오늘 정도에 손절을 당했을 가능성이 큰 종목입니다.

보다시피 10일 이평선을 지지해 주지 못하면 그 다음은 그 바로 아래 20일 이평선을 터치하러 간다고 봐야 하기 때문에, 이때도 특정 구간을 주가가 이탈시는 매도를 하겠다는 룰셋을 기반으로 핸들링 해야 합니다.

아무튼, 위에서 언급하고 싶은 것은 실적 발표 당일 매수를 못 했다 하더라도, 충분한 조정을 거친 후 재상승 시점을 공략하면 되니 너무 EP-Setup에 천착하지 않아도 됩니다.

위는 필자가 홀딩중인 종목으로 어닝 발표 당일은 주가가 하락 했지만,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빠르게 원래 가격으로 회귀를 한 것은 그 자체로 고점 돌파가 임박한 상황이구나로 보고 해석 가능하죠. 20일 이평선을 점진적으로 지지하면서 상승하다 채널 상단을 넘어서는 시점에 매수에 나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실적 발표 이후 조정 마무리 구간에서 진입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하고 싶은 말은 당일 어닝 서프라이즈로 인한 주가 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부담스러운 분들은 굳이 리스크를 크게 테이크 하기 보다는 위 처럼 충분한 조정이 마무리 된 상태에서 셋업을 만들때 진입하는 걸 주력으로 삼아도 됩니다.

필자가 당일 포스트 어닝 종목으로 매매했던 AMD 실패 사례 글도 참고하면 좋습니다. https://buymeacoffee.com/thales22/gallery/3920515

특히 요즘 미국 주식 시장은 쉽지 않습니다. 지수가 상승하는 듯 해 보여도 개별 종목은 일반적인 돌파 셋업을 만들어 시초가에 단기 급등을 시킨 이후 장중에 원래 매수가 수준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땐 쉬어가도 좋습니다. 손절컷 많이 또 자주 나기 쉬운 장세는 관망하거나 잠시 쉬어가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그러니 특히 직장인 주식 투자자 분들의 경우 차분한 상태에서 시장을 복기하고 분석을 하고, 접근하려 노력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아무튼 시장에 딱히 큰 악재는 보이지 않아도 미국 주식 시장이 언제까지 지속 오를것인가 하는 고벨류에션 상태에 대한 말들이 많은 것도 최근 주가의 변동성이 큰 이유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이를테면, 주가가 오를때 마다 누군가는 동안 많이 오른 상태의 주식을 자꾸 내다 팔기 때문에 단기 급등에 따른 단기 주가 급락이 자주 일어나는 것이겠지요.

그러니 너무 조급해 하지 마시고, 또 오늘은 CPI 발표가 대기중이라 오늘 장 또한 조금 더 조심히 다뤄야 그런 시기입니다.

Thales 드림 _()_

Enjoy this post?

Buy Thales a coffee

11 comments

More from Thales